본문 바로가기

심리/아동심리

거짓말하는 아동의 심리 - 원인과 해결방안

안녕하세요 꿈꾸는 새댁입니다

아동심리상담학에서 다루는, 거짓말하는 아동의 심리 원인과 해결방안을 말씀드릴게요.

Photo on Unsplash


원인

 1)

 인지적 미성숙 (4세 전후)

현실과 상상을 구별하지 못하는 나이. 자라면서 고쳐질 문제이므로, 지나친 훈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2)

 관심 끌기

애정 결핍을 느끼는 경우 

 3)

 무의미한 모방

마음에 드는 상대와 같아지고 싶거나, 거짓말 하는 상대를 따라하는 경우 

 4)

 지시에 따름

부모님이나 주변 어른이 시켜서 거짓말하는 경우 (엄마 아파서 못나간다고 해~ 등)

매우 잘못된 학습으로, 양육자는 지시하여 거짓말시키는 것을 지양해야합니다.

 5)

 자신감 부족

상황을 모면, 회피하기 위한 경우 

 6)

 부모의 강박/완벽주의적 교육

혼나지 않기 위해, 완벽한 아이가 되기 위한 경우 

 7)

 상상력이 지나치게 풍부

현실과 상상을 구별하더라도, 상상을 현실처럼 이야기하는 경우  


대처방안

 1)

 보상 (부정/긍정 보상 모두 이용)

 부정적 보상: 거짓말하는 경우 무관심하거나 무시하여, 거짓말에 흥미를 줄여줍니다.

 긍정적 보상: 솔직하게 말하는 경우 칭찬하여, 정직하도록 강화해줍니다. (예. 솔직하게 말하기 힘든 이야기인데 알려줘서 고마워)

 2)

 모델링 제시하기

 다른 사람의 이야기나 동화로 들려주거나, 양육자가 직접 행동으로 보여줍니다.

- 자신의 실수나 잘못을 이야기하고 용서를 구하면, 더 좋은 일이 일어나는 이야기(동화), 사례

- 회피하지 않고 책임을 지면, 더 좋은 일이 일어나는 이야기(동화), 사례

 3)

 사랑 표현하기

 아이의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고 늘 관심을 갖기 때문에, 부풀리거나 거짓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인지시켜줍니다.

 4)

 생활동화와 환상동화의 비율 조정

 상상력이 지나치게 풍부한 경우, 무조건 상상을 하지 말라고 하면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실과 상상 중 현실적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생활(현실)동화의 비율을 꾸준히 높여줍니다.




어린시절 거짓말했던 기억은 누구에게나 있죠.

적절한 치료가 병행된다면, 건강한 심리의 어른으로 성장하는 데에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걱정마시고 상황에 맞는 대처법으로 아이 양육에 힘내시길 바래요

Photo by Robert Collins on Unsplash